본문 바로가기
공부 비법

공부는 하는 데 수학 성적이 안 오르는 이유

by 정밀쌤 2023. 11. 24.
반응형

공부는 하는 데 수학 성적이 오르지 않는다고 하는 학생들이 의외로 많습니다. 진짜로 묻고 싶은 게 '공부를 제대로 하기는 했니?' 사람 하는 일에 100%는 없습니다. 그래서 모든 아이의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하기는 어렵지만 대체로 문제점은 2가지입니다. 이중 한 가지가 문제일 수도 있고, 2가지 문제 다 일 수도 있습니다.

 

공부는 하는 데 수학 성적이 안 오르는 이유

 

전문지식이 아닌 일반 초, 중, 고 교과 수학공부를 하면서 배워야 하는 것이 2가지 있습니다.

1. 인내심

2. 논리적으로 생각하는 힘

 

그래서 수학 성적이 오르지 않는 이유도 대체로 대충 넘어가는 습관과 기억력이 의존하는 습관 2가지입니다.

 

대충 넘어가는 습관

개념을 대충대충 넘어가고 바로 문제를 풀어서 이해하는 것은 거의 없이 공부한 양만 많아 보이게 불필요한 풀이과정만 잔뜩 늘려 놓는 경우가 많습니다. 심지어 틀린 문제를 정확히 채점하지 않고 해설지를 보고 눈으로 따라가면서 이해했다고 생각되면 동그라미 혹은 세모로 채점을 해둔 채 공부를 끝내는 경우도 많습니다.

 

전부 언발에 오줌누기식의 학습 방법입니다. 대충 공부하는 습관은 양과 깊이가 늘어나면서 언젠가 결국에는 무너지게 됩니다. 빠르면 중1부터 무너지지만 대체로 고1에 무너지고 아무리 늦어도 고2 올라가면서 대부분 완전히 무너집니다.(그나마 고1 때는 했었던 공부를 하겠다는 생각조차도 없어지고 아예 공부를 포기함)

 

개념공부는 공식암기 문제 풀이는 기억력에 의존

개념 공부는 도입부터 과정도출을 생각하지 않고 결론으로 나오는 공식을 암기하는 것으로 해결하려고 하는 경향이 큽니다. 문제를 풀 때도 자신이 풀었던 문제 중에서 최대한 비슷한 것을 기억해서 기억력에 의존해서 풀려고 하는 경향이 큽니다. 그렇다 보니 사고력을 요하는 문제는 손을 대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대로 바꿔 이야기하면 (저의 개인적인 경험에 의한 것이라 모두 그렇다고는 할 수 없지만) 처음 접하는 개념 혹은 틀린 문제를 다시 풀면서 왜 그런지 생각을 하면서 푸는 학생의 수학 성적이 낮은 것을 본 적이 없습니다. 대부분 나름 공부를 한다고 하면서 4~6등급에 머무는 학생들은 생각을 하지 않고 기억력에 의존해서 푸는 공부 습관이 있습니다. 그리고 수업을 하면서 이런 류의 학생의 질문을 받아보면 항상 같습니다.

 

질문의 시작은 "모르겠어요."

질문의 중간은 "무슨 공식이에요?"

질문의 끝은 "그래서 답은 몇 번이에요?"입니다.

 

성적이 안 오르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대게 논리적으로 생각하는 것이 멈춰 있습니다.

그래서 당연히 눈으로 공부하는 것을 좋아하고, 공부한 것의 척도는 정확한 개념이해와 체득보다는 앉아 있는 시간과 필기의 양으로 오늘의 노력을 측정합니다. 그래서 반복 숙달을 요하는 부분의 공부가 미흡해집니다. 대표적으로 중학교 도형과 고1수학의 개념이 있고 4등급 이하 학생들은 이 부분이 굉장히 약합니다. 또, 시간이 지날수록 수능에 간접출제된다는 이유로 대충 공부하고 별거 아니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큽니다. 그렇게 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충분히 이해가 갑니다. 왜냐하면 공부는 하지 않지만 그것은 별개의 문제이고 현재 불안하고 마음이 급하거든요.

 

이러한 습관들이 고착화되면 해도 안된다는 셀프 패배주의가 마음속에 자리 잡게 됩니다.

수학 공부를 게을리하던 학생들이 보통 고등학교 입학 후 고1이 시작되는 3월이나 고3이 시작되는 3월에 선생님 제가 기초가 없는 지금부터 하면 될까요?라는 질문을 합니다.

안될까요? 당연히 됩니다. 다만, 차분하게 한 스텝 한 스텝 밟아서 올라가면 충분히 올라갈 수 있습니다. 다만, 그만한 인내심과 의지만 있다면 가능합니다. 그렇지만 대부분 실력이 쌓이는 단계인 숙달과정은 건너뛰고 성취를 이루기를 바란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Solution

1. 셀프 패배주의를 없애고 자신감을 갖자.

셀프 패배주의가 없으면 의외로 고3 혹은 노베이스 상태로 재수를 했을 때도 성적이 오를 확률이 높아집니다.

 

2. 갈수록 중요해지는 고1수학을 놓치지 말자.

노베이스일수록 중학교 도형과 고1수학부터 차근차근 공부하자.

 

3. 양보다는 공부의 질을 높이자.

공부의 질이 높아지면 양은 자연스럽게 늘어납니다. 그렇지만 양만 늘리면 공부의 질은 늘어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무의미한 해설지 베끼기, 인강 틀어놓고 멍 때리기를 하시면 안 되고 채점할 때 분명 문제를 틀렸는 데 해설지보고 고개를 끄덕이고 동그라미나 세모를 치시면 안 됩니다. 

 

4. 공부하는 느낌만 받지 말고 공부를 하자.

몸만 피곤하다고 공부를 한 게 아님을 알아야 합니다. 밤새 공부하지 마시고 항상 일정하게 공부시간을 갖고, 개념을 정확하게 공부하고 틀린 문제를 하나하나 점검하면서 풀어보시기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