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수기 고등수학/정수기 고11 이차함수 그래프 직선과의 교점의 개수를 구하는 데 갑자기 왜 판별식을 쓸까? 이차함수 그래프 직선과의 교점의 개수를 구하는 데 갑자기 왜 판별식을 쓰는 지 알아보겠습니다. 그동안 우리가 배운 함수와 방정식의 개념이 연립방정식을 통해 판별식으로 연결됩니다. 아래는 함수, 방정식, 연립방정식에 대한 개요입니다. 이차함수 직선 위치관계 이차함수 그래프(포물선)과 직선(일차함수)과의 교점의 개수를 구할 때 간편하게 판별식을 씁니다. 교점은 교점이고 방정식의 해는 해인데 왜? 판별식을 쓰는 지 이유를 알아봅시다. 이차함수에서 판별식을 쓸 수 있는 이유 이차함수를 연립방정식으로 재해석 등치법 좌변이 y로 같으면 f(x) = g(x)로 우변도 같다로 놓으면 우변끼리 모으면 '2차식 = 1차식'으로 계산이 가능합니다. 차의 함수로 재해석(판별식을 쓰는 근거) f(x) 값에서 g(x) 값을 뺀 .. 2023. 10. 5. 이전 1 다음